
세계 최대의 가전 전시회 CES 2025가 지난 7일(현지 시각) 개막해 10일까지의 일정을 마무리했습니다. 가전 전시회로 분류되지만, CES 2025는 전 세계의 내로라하는 기술 기업과 스타트업이 한 자리에 모여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는 사실상 IT 전시회인데요. 2025년의 CES에서는 어떤 기술 키워드가 주목받았고, 각 분야에는 어떤 기술과 기업이 등장했는지 총정리해 봤습니다.CES 2025 속 다양한 산업 올해도 여전히 AI 일각에서는 AI 거품론을 주장하지만, CES 2025에서는 여전히 AI가 건재하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많은 기업이 혁신적인 AI 기술을 선보였는데요. 대표적인 것이 삼성전자입니다. 일상의 다양한 상황을 분석해 집이라는 공간에서 고도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홈 AI’ 전..

미국 경제지표 강세 고용 깜짝 증가 지난 10일(이하 현지 시각), 미국 노동부는 작년 12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25만 6천 명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전문가 전망치(15만 5천 명)를 크게 상회하는 ‘고용 서프라이즈’인데요. 실업률도 전월(4.2%) 대비 하락한 4.1%를 기록하며 미국 노동시장이 여전한 강력하다는 것을 제대로 보여줬습니다. 그게 왜 문젠데? 그동안 과열된 미국 노동시장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주범으로 지목됐습니다. 일자리를 얻은 사람이 늘어나면 자연스레 소비가 늘어나고 경제가 과열되기 때문인데요. 작년 7월(11만 4천 명)과 8월(14만 2천 명) 들어 노동시장이 냉각되는가 싶더니, 최근엔 다시 불이 붙기 시작하며 인플레이션을 향한 우려를 키웁니다. 경기 확장 추..

석유와 천연가스는 현대 경제의 필수 동력입니다. 전력 생산, 교통 연료, 산업용 원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요. 석유와 가스는 전 세계 경제를 떠받치는 핵심 자원이자 국가 간 협력 혹은 갈등의 계기가 되기도 하는 전략적 자원입니다. 이 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은 각국의 경제 성장과 에너지 안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국제 정치와 경제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기도 합니다.하지만 최근 석유가스 시장은 환경 규제 강화, 재생에너지 확산, 지정학적 갈등 등으로 인해 변화와 도전에 직면합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미국 에너지 정책 전환이 예상되면서 글로벌 석유가스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어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글로벌 석유가스 시장의 구조, 주요 기업들의 전략과 앞으로의 글로벌..

알리바바그룹은 중국을 대표하는 전자상거래 및 물류 기업입니다. 창업자인 마윈 전 회장은 아랍의 민화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으로부터 사명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고 하는데요. 25년이 지난 지금, 그의 기업은 14억 중국인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성장했습니다. 중국인은 알리바바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제품을 고르고, 알리페이로 결제하고, 자회사 차이냐오를 통해 제품을 배송받죠. 오늘은 알리바바가 이렇게 완벽한 전자상거래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었던 비결을 알아보겠습니다. 알리바바(BABA)의 탄생 및 성장 1999년, 알리바바닷컴으로 시작 알리바바는 1999년, 영어교사 출신 마윈과 그의 동료 17명에 의해 설립됐습니다. 창업 모토는 ‘천하에 불가능한 비즈니스는 없다’로 설립 당시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