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혹시 매달 통신비로 얼마나 쓰나요? 

    5G냐 LTE냐에 따라, 어떤 요금제인지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 입니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 3사가 곧 5G-LTE 통합요금제를 출시한다고 해서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5G-LTE 통합요금제란?

     

    데이터 용량과 전송 속도에 따라 요금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요금제입니다. 데이터 무제한·5GB·50GB 등 데이터양만 선택하면 LTE든 5G이든 사용자 위치에서 잡히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5G가 잘 터지지 않는 지역에 살거나 5G와 LTE 데이터를 구분하지 않고 쓰고 싶어 하는 소비자에게 아주 유용한 요금제가 될 것 입니다.

     

    갑자기 만드는 이유는 뭘까?

     

    결국은 요금제 가격 문제에서 제기 되었습니다. 통합요금제는 “LTE가 5G보다 느린데, 요금제는 더 비싸!” 라는 지적이 계속되자 이통3사가 꺼내든 해결책 입니다.

     

    SK텔레콤을 예로 들면, 월 6GB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5G 요금제는 월 3만 9000원대이지만, LTE의 경우 월 4GB만 주는 요금제가 월 5만 원.

     

    이전 정부에서 이통3사에 “가계통신비 줄여야 해!” 요구했을 때, 이용자가 많은 5G 요금제를 집중적으로 낮췄기 때문이에요. 이에 통신비 부담을 덜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나오는데요. 하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통합요금제가 마냥 좋은 건 아냐!” 라고 얘기하고 있다고 합니다. 모든 일은 장단점이 있기에 그렇다면 단점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통합요금제의 단점은?

     

    알뜰폰 업계가 타격 입을 수도 있어

     

    알뜰폰 업체는 주로 저렴한 LTE 요금제를 통해 가입자를 늘려왔는데요. 통합요금제가 나오면 가입자를 이통3사에 뺏길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실제로 이통3사가 5G 중저가 요금제를 출시하자 지난 1월엔 8만 건이 넘었던 알뜰폰 가입자가 지난 9월엔 1만 8000건대까지 줄어들기도 했습니다. 알뜰폰 시장이 어려워지면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오히려 줄어들 수 있다고 합니다. 

     

    5G망 투자도 줄어들지 않을까? 

     

    5G와 LTE를 함께 쓰는 설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 → 5G만 단독으로 쓰는 설비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어 → 5G 품질이 낮아지고 6G 등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에 대한 대비가 늦어질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실제로 이통3사는 요금제 변화로 수익이 줄어들자 5G망 투자를 축소해 왔거든요. 이에 5G가 지하철 등 혼잡한 환경에선 속도가 느려지는 등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기도 했습니다. 통합요금제 도입으로 통신 품질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것 이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 됩니다.

     

    진짜 문제는 단말기 가격이야

     

    10년 전과 비교해 스마트폰 가격이 최대 2~3배 비싸졌는데, 통신사에서 저렴한 중저가 단말기는 잘 판매하지 않아 소비자들의 부담이 크다는 지적입니다. 이에 “단말기 선택권부터 제대로 보장해!” 하는 비판이 나오는 것입니다.


     

    소비자단체들은 “소비자의 의견에 더 귀를 기울여야 해!” 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것은 5G 서비스를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개선하거나 데이터 제공량을 늘리는 등 혜택을 확대하는 것인데, 단순히 통합요금제를 출시하는 건 보여주기식 정책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KT는 내년 1분기부터, SKT와 LG유플러스는 전산 시스템이 개편 작업이 끝나는 대로 통합요금제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반응형